제14 대 달라이 라마
메뉴
검색
소셜
언어
  • 달라이 라마
  • 공식 일정
  • 사진
  • 동영상
한국어
제14 대 달라이 라마
  • 트위터
  • 페이스북
  • 인스타그램
  • 유튜브
라이브 웹캐스트
  • 홈
  • 달라이 라마
  • 공식 일정
  • 뉴스
  • 사진
  • 동영상
  • 더 보기
담화
  • 자비와 인간의 가치
  • 세계 평화
  • 종교 화합
  • 환경
  • 불교
  • 퇴임과 환생
  • 티베트
  • 기사, 기록, 인터뷰
  • 수락 연설
  • 도겔(슉덴)
법문
  • 인도에서 열리는 법회 참자가를 위한 안내
  • 마음 수련
  • 진실한 기원
  • 칼라차크라 입문식
사무국
  • 대중 접견
  • 개인 접견
  • 언론 매체 인터뷰
  • 초청
  • 연락처
  • 간덴 포당 달라이 라마 재단
저서
  • 기쁨의 발견 JOY
  • 행복한 삶 그리고 고요한 죽음
  • 달라이 라마 반야심경
  • 용서
  • 달라이 라마 자서전
  • 단 하나뿐인 우리의 집
보기
  • 뉴스

His Holiness the Dalai Lama Commences Teachings to Korean Guests 2012년 10월 30일

공유

Dharamsala, HP, India, 29 October 2012 (Samuel Ivor, The Tibet Post International) - Commencing the first of three days of teachings to a group of Korean disciples, His Holiness the Dalai Lama of Tibet introduced Chapter 24 of Nagarjuna's 'Fundamental Treatise of the Middle Way' on October 29th 2012 in the Main Temple, Dharamshala, India.


The Korean guests, which numbered almost 1000, were treated to clear skies upon their visit to the Tibetan exile community; nestled scenically in the foothills of the Himalayas. Warmly addressing the audience, which was filled with a mixture of Tibetans adorning colourful traditional garments (chubas), international tourists from 62 different countries, monks, nuns and almost 200 Indian guests, His Holiness the Dalai Lama opened by giving an insightful introduction into Buddhism itself.

The revered spiritual leader highlighted key topics such as the need to develop peace of mind within oneself, the importance of non-violent action, and highlighted the commonalities that we all share, stating:

“We must acknowledge the sameness of human beings”.

His Holiness also addressed key Buddhist teaching frameworks, such as the Four Noble Truths, adding that one must not take His teachings for granted, but to logically question and test what is taught with reason. He added:

“Texts need to be studied; not simply kept on an altar. Although we can use Buddhist texts as objects of veneration, we must examine the subject matter of Buddhism through reason and logic”.

An emphasis was also made by His Holiness for followers to not simply to avoid violent actions and negative emotions, but to actively develop and foster a positive, altruistic approach to life. He highlighted the nature of interdependency; the notion of Dependent Origination being unique to Buddhism as a religion, and the manner of cause and effect when studied carefully and critically.

An insight into the nature of attachment was also made by His Holiness, who conveyed:

“When you see a beautiful thing, you can become attached to it. When you see something ugly, aversion can occur. It is not only the subject, but you, who finds things the way they are. One creates attachment and aversion themselves”.

Additionally, He added that when you experience anger, it is not simply the object or the person creating the majority of the negative emotion; rather it is created within oneself. Drawing upon scientific research, His Holiness highlighted that 90% of the negative feeling towards the person or object is projected by the individual.

Amid generous helpings of Tibetan tea served by the resident monks, and amid a buoyant atmosphere, His Holiness drew the afternoon session to a close by introducing the text: Chapter 24 of Nagarjuna's Fundamental Treatise of the Middle Way. Nagarjuna who lived between 150 and 250 CE, was an important Buddhist philosopher and teacher, credited with founding the Madhyamaka School Buddhism and developing the ‘Two Truths’ doctrine.

His Holiness expressed His happiness to the Korean guests that He was able to teach Nagarjuna's Fundamental Treatise of the Middle Way, adding that it was a treasure to have the text in the form of both its Korean Tibetan translations. Having thoroughly educated and enthralled the audience, His Holiness drew the teachings to a close at 3pm, ready for the following day.

The teachings on Nagarjuna's Fundamental Treatise of the Middle Way will continue on October 30th in the Main Temple, Dharamshala. A live webcast of the event is available from Tibetan to Korean, English, Chinese and Russian at: dalailama.com/liveweb.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유튜브
  • 모든 콘텐츠의 저작권은 달라이 라마 성하 사무국에 있습니다. 이 웹페이지에 실린 내용은 저작권의 보호를 받고 있으므로 무단 전재와 무단 배포를 금지합니다.

공유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
복사

언어

  • 중국어
  • 티베트어
  • 영어
  • 힌디어
  • 일본어
  • 이태리어
  • 독일어
  • 몽골어
  • 러시아어
  • 불어
  • 베트남어
  • 스페인어

소셜

  • 페이스북
  • 트위터
  • 인스타그램
  • 유튜브

언어

  • 중국어
  • 티베트어
  • 영어
  • 힌디어
  • 일본어
  • 독일어
  • 이태리어
  • 몽골어
  • 러시아어
  • 불어
  • 베트남어
  • 스페인어

웹사이트 검색

인기 검색어

  • 일정
  • 전기
  • 수상
  • 홈페이지
  • 달라이 라마
    • 약력과 일상
      • 3대 과업
      • 제14 대 달라이 라마 약력
      • 출생에서 망명까지
      • 퇴임
        • 티베트 평화 시위 52주년 기념일, 제14 대 달라이 라마 성명서
        • 제14 대 티베트 국민 의회에 전하는 메시지
        • 은퇴와 관련한 달라이 라마의 입장
      • 환생
      • 일과
      • 질문과 답변
    • 역대 달라이 라마
      • 역대 달라이 라마 약력
    • 수상 내역과 연대기
      • 연대기
      • 수상 내역: 2000 – 2015
      • 순방
  • 공식 일정
    • 2024년
    • 2023년
    • 2022년
    • 2021년
    • 2020년
    • 2019년
    • 2018년
    • 2017년
    • 2010년
    • 2009년
    • 2008년
  • 뉴스
  • 사진
  • 동영상
  • 담화
  • 법문
    • 인도에서 열리는 법회 참자가를 위한 안내
    • 마음 수련
      • 마음 수련을 위한 첫 번째 게송
      • 마음 수련을 위한 두 번째 게송
      • 마음 수련을 위한 세 번째 게송
      • 마음 수련을 위한 네 번째 게송
      • 마음 수련을 위한 다섯 번째, 여섯 번째 게송
      • 마음 수련을 위한 일곱 번째 게송
      • 마음 수련을 위한 여덟 번째 게송
      • 깨달음을 구하는 마음 일으키기
    • 진실한 기원
    • 칼라차크라 입문식
  • 사무국
    • 대중 접견
    • 개인 접견
    • 언론 매체 인터뷰
    • 초청
    • 연락처
    • 간덴 포당 달라이 라마 재단
  • 저서
  • 라이브 웹캐스트